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킥 보드와 전기자전거 결제 방법 및 사용 방법

by 떠비이 2025. 3. 28.
반응형

.

킥보드와 전기자전거 결제 방법 및 사용 방법

최근 공유 전동 킥보드와 전기 자전거가 대중교통의 보조 수단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이용 방법이 간편하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어 도심에서 특히 유용하죠.
이번 글에서는 공유 전동 킥보드 및 전기 자전거의 결제 방법과 사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공유 전동 킥보드 결제 방법 및 사용법

1. 결제 방법

전동 킥보드는 대부분 스마트폰 앱을 통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주요 서비스로는 킥고잉, 라임, 씽씽, 빔, 지쿠터 등이 있으며, 결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앱 다운로드 및 회원 가입
    • 각 서비스의 공식 앱을 다운로드한 후 회원 가입을 합니다.
    • 본인 인증(휴대폰 번호, 신분증 등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2. 결제 카드 등록
    • 앱에서 신용카드, 체크카드 또는 간편 결제(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등)를 등록합니다.
    • 일부 서비스는 선불 충전 방식(포인트 충전)도 지원합니다.
  3. 요금 확인 및 결제
    • 기본 이용 요금은 약 1,000원(기본 요금) + 1분당 100~300원 정도입니다.
    • 이용 종료 후 자동으로 등록한 결제 수단에서 요금이 청구됩니다.

2. 사용 방법

  1. 킥보드 찾기
    • 앱을 실행한 후, 근처에 있는 킥보드를 지도로 찾습니다.
    • 특정 위치에서 주차 가능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2. QR 코드 스캔하여 대여 시작
    • 킥보드에 부착된 QR 코드를 앱으로 스캔하면 대여가 시작됩니다.
  3. 킥보드 탑승 및 주행
    • 헬멧을 착용한 후, 한 발을 킥보드에 올리고 다른 발로 지면을 밀면서 출발합니다.
    • 속도를 조절하려면 오른쪽 핸들에 있는 가속 레버(Throttle) 를 살짝 눌러줍니다.
    • 브레이크는 왼쪽 핸들에 위치해 있으며, 천천히 잡아 속도를 줄입니다.
  4. 이용 종료 및 반납
    • 목적지 도착 후 앱에서 ‘이용 종료’ 버튼을 눌러 반납합니다.
    • 일부 서비스는 지정된 주차 구역에서만 반납이 가능합니다.
서비스명기본 요금분당 요금결제 방식주요 지역
킥고잉 1,000원 100~200원 카드, 간편결제 서울, 경기
라임 1,200원 180~250원 카드, 페이팔 서울, 부산
씽씽 1,000원 150~200원 카드, 포인트 충전 전국 주요 도시
1,000원 150원 카드, 카카오페이 서울, 대구
지쿠터 1,000원 150원 카드, 네이버페이 전국

 

공유 전기 자전거 결제 방법 및 사용법

1. 결제 방법

전기 자전거 역시 앱을 통해 대여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따릉이(서울), 일레클, 카카오 T 바이크, 뉴비 등이 있습니다.

  1. 앱 설치 및 회원 가입
    • 각 서비스의 앱을 다운로드 후 회원 가입을 합니다.
    • 일부 서비스는 공공 자전거 시스템(예: 따릉이)과 연동됩니다.
  2. 결제 카드 등록
    • 신용카드, 체크카드,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등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 정기권(월 단위) 구독도 가능하며, 이용 횟수가 많다면 정기권이 경제적입니다.
  3. 요금 확인 후 결제
    • 기본 이용료는 약 1,000~2,000원(30분 기준)이며, 추가 요금은 10분당 500~1,000원 정도입니다.

2. 사용 방법

  1. 전기 자전거 찾기
    • 앱을 실행한 후, 가까운 전기 자전거를 지도에서 찾습니다.
  2. QR 코드 스캔 및 대여 시작
    • 자전거에 있는 QR 코드를 앱으로 스캔하면 대여가 시작됩니다.
    • 일부 서비스는 자전거 거치소에서만 이용 가능합니다.
  3. 자전거 주행
    • 전기 자전거는 일반 자전거처럼 페달을 밟으면 자동으로 전기 모터 보조 기능(페달 어시스트) 이 작동합니다.
    • 속도 조절은 페달을 밟는 강도에 따라 달라지며, 브레이크는 일반 자전거와 동일하게 사용합니다.
  4. 반납 및 이용 종료
    • 목적지 도착 후 앱에서 ‘이용 종료’ 버튼을 누르고 자전거를 안전하게 세워둡니다.
    • 일부 서비스는 지정된 반납 장소에서만 반납이 가능합니다.
서비스명기본 요금추가 요금결제 방식주요 지역
따릉이(서울) 1,000원(1시간) 10분당 200원 카드, 정기권 서울
일레클 1,500원(10분) 1분당 150원 카드, 카카오페이 수도권
카카오T 바이크 1,000원(5분) 1분당 100원 카드, 카카오페이 전국
뉴비 1,000원(10분) 1분당 120원 카드, 네이버페이 주요 도시

공유 전동 킥보드와 전기 자전거는 편리하고 빠른 이동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앱을 통해 간편하게 결제하고, QR 코드를 스캔해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교통법규를 준수하고, 헬멧을 착용하는 등 안전한 이용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Q&A

질문
킥보드와 전기 자전거를 이용할 때 헬멧을 꼭 써야 하나요?

답변
네, 도로교통법에 따라 헬멧 착용이 의무입니다. 하지만 일부 사용자들은 이를 잘 지키지 않으므로,

안전을 위해 항상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질문
킥보드와 전기 자전거는 어디에서 주행할 수 있나요?

답변
킥보드는 자전거 도로 및 일반 도로에서만 이용할 수 있으며, 인도 주행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전기 자전거는 자전거 도로에서 주행 가능하며, 일반 도로에서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질문
킥보드를 주차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답변
보행자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는 곳에 주차해야 합니다. 또한 일부 서비스는 지정된 주차 구역이 있으므로,

앱에서 확인 후 반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질문
전기 자전거의 배터리가 없으면 어떻게 하나요?

답변
배터리가 부족한 경우 페달을 밟아 일반 자전거처럼 이용할 수 있지만, 힘이 더 들 수 있습니다.

앱에서 배터리 잔량을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질문
킥보드와 전기 자전거를 타다가 사고가 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답변
가벼운 사고라도 보험 적용 여부를 확인하고, 심각한 경우 경찰이나 서비스 업체에 즉시 신고해야 합니다.

질문
킥보드와 전기 자전거의 최저 연령 제한이 있나요?

답변
대부분의 서비스는 만 16세 이상부터 이용이 가능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