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통장 이체 잘못했을 때 대처 방법

by 떠비이 2025. 2. 14.
반응형
 
 

 

 

목차

     

     

    통장 돈 잘못 보냈을 때 

    계좌이체를 하다가 실수로 잘못된 계좌로 송금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당황하지 말고 빠르게 조치하면 돈을 되찾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오늘은 통장 이체를 잘못했을 때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통장 계좌이체 잘못했을 때 대처 방법

    1. 실수 유형 확인하기

     

    이체 실수는 주로 다음과 같은 경우로 나뉩니다.

     

    🔹 존재하지 않는 계좌로 송금

    • 계좌번호가 잘못 입력되어 실제 존재하지 않는 경우.
    • 보통 은행에서 자동으로 입금 취소됨.

    🔹 다른 사람의 계좌로 잘못 송금

    • 계좌번호는 맞지만 수취인이 다를 경우.
    • 본인의 실수로 송금한 경우에도 돌려받을 방법이 있음.

    🔹 중복 송금

    • 같은 금액을 두 번 보낸 경우.
    • 빠르게 은행을 통해 조치 필요.

    2. 은행 고객센터에 즉시 연락하기

     

    이체 실수를 인지했다면 가장 먼저 해당 은행 고객센터에 연락하세요.

    은행에 연락하여 착오 송금 반환 요청하기

    • 본인의 계좌정보, 송금 내역, 착오 송금 사실을 설명.
    • 수취인이 동의하면 돌려받을 수 있음.
    • 수취인이 거부하면 반환 청구 절차 진행 가능.

    은행 업무시간이 지난 경우 인터넷 뱅킹 활용

    • 일부 은행은 온라인이나 모바일 앱에서 착오 송금 반환 신청 가능.

    3. '착오송금 반환 지원제도' 활용하기

     

    수취인이 돈을 돌려주지 않는 경우, 예금보험공사의 착오송금 반환 지원제도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이용 방법
    1️⃣ 예금보험공사 홈페이지 접속 → '착오송금 반환지원' 서비스 신청
    2️⃣ 신청서 작성 및 송금 내역 증빙 자료 제출
    3️⃣ 예금보험공사가 대신 수취인에게 반환 요청
    4️⃣ 반환 거부 시 법원 지급명령 신청 진행

     

    📌 반환 신청 가능 기간

    • 송금일로부터 1년 이내 신청 가능

    📌 적용 대상이 아닌 경우

    • 해외 송금, 대출금 상환, 본인 명의 계좌 간 이체 등은 해당 안 됨

    4. 경찰 신고 및 법적 대응

     

    고의적인 돈 반환 거부 시 경찰 신고 가능

    • 계좌 이체 실수를 악용하여 돈을 돌려주지 않는 경우 횡령죄가 될 수 있음.
    • 경찰서에서 '사기·횡령죄'로 신고 가능.

    법원 지급명령 신청

    • 수취인이 반환 요청을 계속 거부하는 경우 법원에 지급명령 신청 가능.
    • 법적 조치를 통해 강제 반환 가능.

     

    5. 앞으로 실수를 방지하는 방법

     

    💡 이체 전 다시 한번 계좌번호 확인

    • 송금 전 상대방 계좌번호와 예금주명을 꼼꼼히 확인하세요.

    💡 소액 이체 후 본 이체 진행

    • 큰 금액을 이체할 때는 먼저 1,000원 정도 보내고 확인 후 본 이체 진행.

    💡 은행 자동입력 기능 활용

    • 자주 사용하는 계좌는 자동입력 기능을 활용하면 실수를 줄일 수 있음.

    계좌 이체 실수는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신속하게 대응하면 돌려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착오송금 반환제도를 활용하고, 법적 대응까지 고려하면 문제 해결이 가능합니다.
    앞으로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이체 전 꼼꼼히 확인하는 습관을 들여보세요!